![]() |
vol 9 >> 도서관 고찰 |
![]() |
프랑스 대학도서관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 |
|
프랑스 대학도서관의 어제와 오늘을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 대학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집중탐구코너를 마련, 3회에 걸쳐 연재하고자 한다. 제
2편 ○ 대학도서관의 디지털화 -전통적인 유형자료 도서관에서 가상도서관, 전자도서관, 디지털도서관으로 변모 -인터넷 등장으로 출판물, 전화, 라디오, TV 등의 기능대체 및 유형자료 도서관기능 축소
-교육과 연구 분야에 비해 대학도서관의 경우 인터넷 도입이 늦은 편임
○ 정보화사회의 진전 -막대한 지식컨텐츠의 디지털화는 네트웍을 통한 정보유통이 가능하게 함 -문서(유형)자료는 존속예상 이유: 구하기 쉬움, 사용하기 쉬움, 다루기 쉬움, 가격저렴
-대학도서관내 새로운 기술개발은 유형자료도서관과 무형자료도서관의 대체의미보다는, 새로운 미디어와 생성자료에 대한 대학의 적응 필요성을 의미
○ 문서자료의 디지털자료 변환 조건 -유료소비자 확보를 통한 수익성 보장 -1920, Nice 대학과 Littoral 대학간 도서대차는 우편을 통해 이루어짐. 가장 빠르고 저렴한 수단
-현재, 파손되기 쉬운 자료는 디지털자료 보다는 마이크로필름 상태로 전달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고 평가됨. 이유: 정보저장기술이 상대적으로 용이
○ 프랑스 대학도서관 혁신방향 -대학 생성 디지털자료의 조직화 -교육/과학 자료 및 정보 확산의 체계화 : 대학 정보시스템 구조화, 인테넷이용 등 정보비용 증가 추세
- 학생, 교수, 연구원의 정보기술/관리에 필요한 수단확보
○ 프랑스대학 혁신프로그램의 요소 -핵심역량이전 -인적자원조직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 -핵심투자대상: 자금투입보다는 조직개편에 촛점 행정직, 교수, 연구원, 사서, 그래픽 디자이너, 정보․오디어비쥬얼 엔지니어 등 전문가를 한팀으로 응집, 보완적 능력 결집: 비용/기간 -대학도서관 관계자에 대한 계속교육/연수 : 자료/정보서비스 책임자, 행정직, 행정책임 교수 등에 대한 대학도서관 관련 정기적 교육/연수가 필요함 이전호로 이동.... ....다음호에 계속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