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 1 >> 정보검색 Tip

정보검색의 개요
 
 

정보의 의미

◀ 정보의 의미

데이터를 특정 목적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조직화한 사실이다.

◀ 정보의 가치

지식사회에서는 기업의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하나의 생산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 정보검색이란

정보검색이란 데이터베이스나 인터넷의 수많은 홈페이지에 있는 공개된 정보를 대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일

◀ 정보검색의 목적

소속 단체 또는 집단, 개인의 자기 실현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정보와 경쟁상대의 움직임에 대한 분석정보를 만들기 위함

◀ 정보검색의 필요성(기업과 연관하여 설명)

비즈니스 활동의 대부분이 정보와 관련된 문제들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이 정보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빌게이츠는 그의 최근 저서인 '생각의 속도'에서 "정보를 탁월하게 이용하는 것이 경쟁사로부터 자기 회사를 차별화하는 가장 의미 있는 방법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글로벌시대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위해서는 남들보다 빠르게 정보를 수집하여 업무에 활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 기업에서 항상 수집해야할 정보

  - 시장에 관한 정보
  - 고객과 비고객에 관한 정보
  - 변화하는 세계경제에 관한 정보
  - 전세계적인 자금사정에 관한 정보
  - 관련 산업과 비관련 산업에 관한 정보

◀ 정보검색 능력은 Knowledge worker들의 필수 요건

오늘날의 정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그 많은 정보를 인간이 다 외우고 있기는 불가능하다. 더구나 많은 기업들이 기존의 경영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영방식 즉 정보를 많이 필요로 하는 지식경영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실제 업무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능력은 지식근로자들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고 나아가 지식근로자들의 정보검색 능력은 기업의 사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정보검색은 검색 방법에 따라 크게 분류표 방식과 검색엔진방식으로 나눈다.

◀ 분류표방법

주제별 분류표에서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로 단계별 범위를 좁혀 가는 방법

예를 들어 Yahoo에서 '인류의 진화'에 관한 자료를 찾고 싶다면 '자연과학'이라는 대분류 에서 '생물학'이라는 중분류를 선택하고 다시 '진화론'이라는 소분류를 선택하면 관련된 여러 사이트가 나타난다.

            자연과학 -> 생물학 -> 진화론 -> 관련 사이트

이 방법은 특정한 주제 분야를 찾거나 혹은 찾고자 하는 정보의 분류표상의 위치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 유리하고 또 이웃한 관련 정보들과 함께 참고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그러나 검색단계를 몇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 검색엔진 방법

검색엔진에서 주어진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실행 버튼만 클릭 하면 관련된 정보가 검색되게 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Naver라는 한글 검색엔진에서 '스포츠 마케팅'이라는 정보를 찾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 검색창에서 '스포츠 마케팅'이라는 검색어를 넣고 오른쪽에 있는 검색 버튼을 클릭 하면 된다.

이 방법은 연산자를 사용하여 여러 검색어를 동시에 사용할 필요가 있거나 혹은 구문검색을 할 때 유리한 방법으로서 검색시간이 짧으나 관련이 없는 정보들도 함께 검색되는 경우가 많고 또 검색결과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기가 어렵다.

검색대상에 따라 분류하면 소급검색과  SDI검색으로 나눈다.

◀ 소급검색과 SDI 서비스

정보검색은 검색 대상이 이미 축적된 정보냐, 아니면 앞으로 생성될 정보냐에 따라 소급검색과 SDI검색으로 나눈다.

소급검색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축적된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방법으로서 Search Engines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이 여기에 해당된다. 새롭게 발생되는 정보도 일단 축적이 되고 난 다음에 축적된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이 이루어진다.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ion)서비스

소급검색에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새롭게 발생하는 정보를 대상으로 개인이나 단체가 필요한 주제를 설정해 놓으면 그 주제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발생하는 즉시 이용자에게 전자메일이나 기타 채널을 이용하여 배달되게 하는 정보서비스 방법으로서 현재 많이 애용되고 있는 맞춤형 뉴스정보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는 특정한 분야에서 새로운 정보를 남들보다 빠르게 입수할 수 있어 지식근로자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국내에서는 뉴스정보와 국가정보를 대표적으로 받아 볼수 있다. 뉴스정보에는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이 제공하고 있고 국가정책정보는 국정홍보처(http://www.allim.go.kr/)의 E-mail Club에 가입하면 된다.